졸업인증기준
교과 영역 구분 | 입학년도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공인원 교과 영역 구분 | 학교 교과 영역 구분 | 2012 | 2013 | 2014 | 2015~2018 |
전문 교양 | 기초교양(교필) | 11 | 11 | 12 2) | 12 3) |
공학기초소양 | 6 1) | 6 1) | 6 1) | 6 4) | |
취업필수 | 1 | 1 | - | - | |
MSC | BSM(MSC) | 30 5) | 30 6) | 30 6) | 30 6) |
기타 | 일반교양(교선) | - | - | - | - |
전공 | 기초공통 | - | - | - | - |
전공(설계) | 69 7) (12) | 69 7) (12) | 69 7) (12) | 69 (12) | |
총 학점 | 130 | 130 | 130 | 130 |
1) 공학법제, 공학경제를 반드시 이수해야 함. 단, 창의적 공학설계는 필수 교과이며 전공 이수 학점으로 인정
2) 교양필수 교과목 중 ‘문제해결과 대인관계’ 교과목을 반드시 수강하여야 함
3) 교양필수 교과목은 13학점을 이수해야 하지만 ‘사회봉사’교과목을 전문교양에서 제외해서 12학점임
4) 공학경제, 창업과 특허를 반드시 이수해야 함
5) 수학영역에서 미적분학/공학수학/미분방정식/선형대수학/확률 및 통계학을 이수하고, 기초과학영역에서는 일반물리학 및 실험 Ⅰ, Ⅱ와 일반화학을 이수하고, 전산학영역에서는 프로그래밍실습 Ⅰ, Ⅱ를 이수해야 함
6) 수학영역에서 미적분학/공학수학/미분방정식/선형대수학/확률 및 랜덤프로세스를 이수하고, 기초과학영역에서는 일반물리학 및 실험 Ⅰ, Ⅱ와 일반화학을 이수하고, 전산학영역에서는 프로그래밍실습 Ⅰ, Ⅱ를 이수해야 함
7) ‘창의적 공학 설계’ 교과목 이수학점은 전공 이수학점으로 인정함
2) 교양필수 교과목 중 ‘문제해결과 대인관계’ 교과목을 반드시 수강하여야 함
3) 교양필수 교과목은 13학점을 이수해야 하지만 ‘사회봉사’교과목을 전문교양에서 제외해서 12학점임
4) 공학경제, 창업과 특허를 반드시 이수해야 함
5) 수학영역에서 미적분학/공학수학/미분방정식/선형대수학/확률 및 통계학을 이수하고, 기초과학영역에서는 일반물리학 및 실험 Ⅰ, Ⅱ와 일반화학을 이수하고, 전산학영역에서는 프로그래밍실습 Ⅰ, Ⅱ를 이수해야 함
6) 수학영역에서 미적분학/공학수학/미분방정식/선형대수학/확률 및 랜덤프로세스를 이수하고, 기초과학영역에서는 일반물리학 및 실험 Ⅰ, Ⅱ와 일반화학을 이수하고, 전산학영역에서는 프로그래밍실습 Ⅰ, Ⅱ를 이수해야 함
7) ‘창의적 공학 설계’ 교과목 이수학점은 전공 이수학점으로 인정함
※ 전자ㆍ정보통신공학전공은 2022년 2월 졸업생까지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KEC2015 공학교육인증 기준에 따라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어서 심화과정/일반과정 졸업기준을 적용하고, 이후 졸업생은 심화과정/일반과정을 운영하지 않는 바 입학연도에 따라 심화과정/일반과정/현재 졸업기준 가운데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면 졸업조건을 만족한다. 특히, 2019학번부터는 공학교육인증의 교육요소와 전자ㆍ정보통신공학전공의 심화과정 졸업요건을 요약하여 명시하면 다음과 같다.
교육요소 | KEC2015 | 전자·정보통신공학과 심화과정 |
---|---|---|
전문 교양 | 프로그램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교과목 | 제한 없음(교양필수 이수로 충분) |
MSC |
|
|
전공 |
|
|
기타 |
|
|
- 2019년 교과과정개편에서 공학기초소양 교과목을 폐설한 바, 이후 졸업요건에서 공학기초소양 교과목이수 여부를 삭제함.
- 일반과정은 학점(공통교양 13학점, 핵심교양 6학점, MSC 18학점, 전공 69학점)만 충족하면 됨. 즉, 이수체계 준수를 충족시키지 않아도 됨.